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IMT-2030, 6G 후보 주파수 대역 / 로데슈바르즈

로데슈바르즈_ROHDE_SCHWARZ

by 홍스블루스 2024. 1. 23. 09:22

본문

 
 
 

IMT-2030, ITU 6G 비전 권고(안) / 로데슈바르즈

2023년 6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제44차 국제전기통신연합(ITU) 이동통신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6세대 이동통신(6G) 목표 서비스와 핵심 성능 등의 개념을 담은 IMT-203

hongsblues.tistory.com

 

지난 2023년 6월 국제 전기통신연합(ITU) 이동통신 작업반(ITU-R WP5D) 회의에서 6세대 이동통신(6G) 목표 서비스와 핵심 성능 등의 개념을 담은 ‘IMT-2030 프레임워크’ 권고안을 발표했다. 그리고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서 열린 ITU 무선통신 총회(RA-23) 회의에서 해당 권고안을 승인하였다. 이에 따라, ITU-R은 6G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요구 사항 및 기술 제안에 대한 프로세스와 평가 기준을 정의하는 데 중점을 둘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주파수 국제 분배를 위한 세계전파통신회의(WRC-23)도 성공적으로 마무리되었다.

WRC-23은 2023년 11월 20부터 12월 15일까지 4주간 개최되었으며, 해당 회의에서 6G 후보 주파수 대역이 선정되었다. 이번 회의엔 162개국이 참가하였고, 23개의 후보대역을 제안하였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그동안 WRC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4.4~15.35 GHz 중 일부대역 4개를 제안하였고, 그 중 3개 대역이 명단에 포함되었다. 최종 선정된 후보대역은 그림 1과 같이 4.4~4.8 GHz(일부대역), 7.125~8.4 GHz(일부대역), 14.8~15.35 GHz 3개 주파수 대역으로 총 2.2 GHz 폭이다.

그림 1. ITU-2030, 6G 후보 주파수

 

그동안 6G 후보 주파수로 거론된 대역은 그림 2와 같이 1 GHz 이하(Low-band), 1~7 GHz(Lower mid-band)와 함께 고주파 대역의 7~24 GHz(Upper Midband) 와 92~300 GHz(Sub-THz) 대역 등이다.

그림 2. 6G 후보로 언급되었던 주파수 대역

 

초기 6G 연구는 Tbps 급 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5G의 밀리미터 웨이브(mmWave) 대역보다 높은 100 GHz 이상 서브 테라헤르츠(Sub-THz) 대역을 대상으로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6G 상용화를 위해 7~24 GHz 중고(Upper-mid) 대역의 주파수 범위가 현실적이라는 의견이 2021년 말부터 통신업계에서 대두되었다. 특히, 22년 3월 MWC에서 FCC 의장은 5G의 경험을 교훈 삼아 6G 주파수 대역으로 7GHz~15 GHz 내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해야 한다고 발표하기도 하였다.

Upper-mid 밴드와 Sub-THz 대역과 같은 고주파 대역은 넓은 대역폭을 활용할 수 있어 초고속 대용량 서비스에 적합하나, 파장이 짧아 장애물 통과 시 투과 손실이 크고 회절성은 떨어지므로 서비스 커버리지가 줄어드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중고 대역 외에 기존 2G, 3G 서비스 단종과 함께 발생하는 1 GHz 이하 유휴 주파수를 6G에 재활용할 수 있는 여력이 아직 남아있었다. 그러나 국가와 지역별로 분류되어 제공되는 있는 서비스 대역에 대한 문제점과 간섭 및 안테나 기술 등에 대한 과제는 여전히 존재하였다.

결과적으로, 5G FR2 대역인 mmWave 대역에서의 실패를 교훈 삼아 고대역은 아직 시기상조라는 의견과 상용화에 대한 어려움을 되풀이하지 않고 6G를 효율적으로 도입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후보 주파수 대역이 채택된 것으로 판단된다. 통신 업계에서도 기존 장비의 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최종 후보 주파수 군에 적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종 6G 주파수는 2027년 세계전파통신회의(WRC-27)에서 확정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그림 3과 같이 2021년부터 진행 중인 “6G 핵심기술 개발사업”과 2024년부터 시작하는 “6G 산업 기술 개발사업”을 기반으로 Upper-mid 주파수대역에서 활용할 E-MIMO 최적화 기술 및 핵심 부품 개발에 몰두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림 3. 국내 6G 기술 개발 과제별 로드맵

 

추가 문의사항은 아래 연락처로 문의주시면 신속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T. 031-348-3953

Mail. ds3@roientec.co.kr

관련글 더보기